
채용 정보 홈페이지
Welcome



Louis Vuitton
Settling into Seoul. #LouisVuitton celebrates the opening of a new Frank Gehry-designed Maison and a Women’s Fashion Show on October 31st at 7 pm (local time). Images from the Arario Museum in SPACE, Dongdaemun Design Plaza and Korea Furniture Museum. http://on.louisvuitton.com/60141JpXY
모든 채용 직무를 확인하세요
확인 하기
Louis Vuitton
Finale of the #LVMenSS21 Show in Tokyo.
Music produced by Benji B and recorded in London by an all-star ensemble featuring Yussef Dayes, Shabaka Hutchings, Nubya Garcia, Kamaal Williams and Omar Lye-Fook.
Watch the show now at http://on.louisvuitton.com/6010Gq9Jr


-
Rebecca
파트타임직으로 시작하여 전문 커리어를 개발
H I feel as though all these experiences have really made me who I am. They've built on each other.
***
My name is Rebecca.
I started my career 15 years ago in Columbus, Ohio. I started out as a client advisor for the store there part-time.
I was kind of the weekend closer person because I was in school for full-time during the week. It was a great experience because when I was there, I had all those moments of high traffic clienteling coming in. I was able to build a lot of strong relationships. I think that's when I first realized what luxury was.
From Colombus, I've held a few different roles. I think my next major city I went to was Chicago. Then a few years after Chicago, I made my way up to New York.
When I moved to New York for Vuitton, I actually came in as a Team Universe Manager for a men's store. I opened the first men's store we had here in North America. That was amazing.
I think always when I do mobility and I changed roles that the first three months are a little challenging. It's very exciting as much as it can be a bit uncomfortable to start over or to move to a city. For example, when I moved to Chicago, I knew no one. I just picked up and moved from Ohio to Chicago for this new experience. Not only was I learning the ins and outs of a new store, a new team, but then I was also really learning my new life. I feel now as change comes, whether it's within my personal or my professional life, I'm usually pretty receptive.
I managed a project that we worked on the collaboration with Supreme. From a merchandising standpoint, I was the lead of the project.
We were quite transparent on things. Because we did this collaboration with an outside streetwear brand, we had to be more agile. Everything was a bit top secret until the last moment. It made it very, very fun. It was definitely something that I will never forget.
I've really tried to work hard on taking advantage of every moment, not only whether it's having fun in a team building situation, or staying very late nights in a buying session while we're in Paris, or working with a VIC client. I feel as though all these experiences have really made me who I am. They've built on each other.
I think sometimes when we think about mobility, and when we hear about mobility with outside companies, it's very fast moving. Mobility happens in these companies within a year, within eight months, within two years maximum. That's not always the case in Vuitton. I actually appreciate that because I think we get to learn our roles much better. I feel very lucky because I have retail experience for 11 years I was in store. Now, I've also had corporate experience through merchandising, where I get to work with many different teams.
It's a very unique and diverse role that I'm now in that I feel as though it could take me anywhere. I can't say what my next step will be, but I'm sure it will be equally as exciting to what I've experienced so far.
Rebecca, Merchandising Manager
저는 15년 전에 미국 오하이오 콜럼버스 지역의 매장에서 파트타임 클라이언트 어드바이저로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
당시 저는 주중에는 학교에 출석해야 했기 때문에 주말에 매장에 근무했습니다. 항상 수많은 고객들이 방문하는 매장에서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을 만나고 좋은 관계도 맺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진정한 럭셔리가 무엇인지 처음으로 깨달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콜럼버스 매장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직무를 맡았습니다. 이어서 다음에 제가 일할 대도시로 시카고를 염두해 두었습니다. 몇 년 후에는 시카고 매장으로 이동했고, 시카고에서 일하면서 뉴욕으로 이동하기 위한 준비를 했습니다.
뉴욕 루이 비통 매장에 왔을 때는 남성 매장의 팀 총괄 매니저를 맡았습니다. 이곳 북미 시장 최초의 남성 매장 오픈을 맡았습니다. 정말 놀랍고 멋진 경험이었습니다.
저는 항상 모빌리티 기회를 찾아 직무를 바꿔왔습니다. 처음 세 달 동안은 어려운 점을 느끼기도 합니다. 새로운 업무를 시작하거나 새로운 도시로 이사하는 것이 불편할 수도 있으나 그만큼 정말 흥미롭고 기대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시카고에 왔을 때는 그곳에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저는 새로운 경험하기 위해 모빌리티를 선택하고 오하이오에서 시카고로 왔습니다. 저는 새로운 매장, 새로운 팀과 함께 많은 것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활 속에서 정말로 많은 것을 경험했습니다. 지금은 개인적인 변화나 업무적인 변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저는 슈프림과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관리하기도 했습니다. 머천다이징 계획부터 프로젝트의 모든 과정을 책임지고 이끌었습니다.
저희는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분명한 원칙을 세웠습니다. 외부 스트리트웨어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이기 때문에 더욱 유연하고 신속한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모든 콜라보레이션 정보를 일급비밀로 유지했습니다. 정말 너무나 즐겁고 유쾌한 프로젝트였고, 평생 잊지 못할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저는 즐거운 팀 빌딩 활동을 하고, 파리 바잉 세션에서 늦게까지 함께 작업하고, VIC 고객을 만나는 등 정말 모든 순간을 즐기며 최선을 다해 열심히 일했습니다. 저는 이러한 모든 경험이 지금의 저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경험이 모두 합쳐져서 이 자리에 올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모빌리티에 대해 생각하거나 외부 기업의 모빌리티 사례를 들을 때는 신속한 이동과 짧은 근무 기간이 떠오른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기업에서는 모빌리티 기회로 1년, 8개월 또는 최대 2년의 근무가 가능합니다. 루이 비통 하우스는 항상 단기간의 모빌리티 기회만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새로운 직무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장기간의 모빌리티 기회를 만족스럽게 생각합니다. 저는 정말 운이 좋게도 11년 동안 매장에서 리테일 분야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경영 팀에서 머천다이징 업무를 맡으며 매우 다양한 팀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저는 매우 특별하고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고, 어디든지 또 다른 도전이 가능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저의 다음 도전이 무엇인지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경험해온 것처럼 흥미로운 도전이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레베카, 머천다이징 매니저
-
Ian
클라이언트 어드바이저에서 고객 개발 매니저로 전향
The thing that I love about going to work at Louis Vuitton is that you can put your own personality into your role.
***
My first name is Ian. I started my career with Louis Vuitton in 2014 in the Charleston, South Carolina store.
After working as a client advisor for a little over two years, I was offered an amazing opportunity to join the regional corporate team based in Miami as the acting events coordinator for the southeast region.
I move to Miami not knowing anyone, having no family there, having no friends there, and it was a really scary moment in my life to move for a position, but I’m so, so happy that I did. I had such strong support system from my store, from my regional team that they really made me feel like I was at home.
I was in Miami for about one week before deciding I wanted to live there permanently. I worked with my HR team to discuss mobility to the Miami market, and I was really excited to discover that one of my dream jobs in client relations was opening our Aventura store. After meetings with other Louis Vuitton professionals in client relations I was offered the role of client relations leader in Miami. I worked in this role for six months before accepting a promotion to a manager role, managing client relations watches and fine jewelry. I’ve been in this role since January of 2018.
I think that you have a lot to gain from actually working in a retail environment and moving to a corporate environment back and forth. You get to learn so much about the other side of the Louis Vuitton world.
One of the most exciting things that happen to me at Louis Vuitton was taking a trip to Paris and Geneva this year to see our high jewelry and high watch making workshop. The experience is one that I will really treasure forever, and I’ll never forget getting a behind the scenes look at the workshops and meeting those who actually craft those pieces was really, really special. The company and those crafting those pieces are so proud of the work that they do and meeting them inspired me to take their passion home and share my experience with my team and my clients.
The thing that I love about going to work at Louis Vuitton is that you can put your own personality into your role. There are so much opportunity for you to be creative in your role, there’s not one way to get to success, you really have a lot of autonomy in Louis Vuitton to try out new things and break the status quo.
Ian, Client Development Manager
루이 비통에서 일하는 것이 즐거운 이유는 바로 저의 개성과 장점을 살려 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안(Ian)이라고 합니다. 저는 2014년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에 위치한 찰스턴(Charleston) 매장에서 일하며 루이 비통 하우스에서의 커리어를 시작하였습니다.
약 2년 정도 클라이언트 어드바이저로 활동한 후에 마이애미에 위치한 지사 팀에서 남동부 지역의 이벤트 코디네이터 대행으로 일하는 멋진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저는 마이애미 지역을 전혀 알지 못했고, 이곳에 가족이나 친구가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 지역으로 배치되는 것이 개인적으로 굉장히 두려웠으나 새로운 기회가 와서 정말 기뻤고 이 기회를 잡을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저의 매장 팀이 지역 이동에 필요한 완벽한 지원 시스템을 제공했고, 지역팀 역시 제가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마이애미에 완전히 이주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마이애미에서 일주일을 보냈습니다. 인사팀과 마이애미 지사 이동에 대해 협의하였고, 제가 희망했던 고객 관리 업무의 하나로 아벤투라(Aventura) 매장 오픈을 담당하게 되어 정말 기뻤습니다. 루이 비통 고객 관리팀의 다른 직원들과 미팅을 가진 후 마이애미 지역의 고객 관리 책임자직을 맡게 되었습니다. 매니저직으로 승진하기까지 6개월 동안 이 업무를 맡았으며, 워치 및 파인 주얼리 카테고리의 고객 관리를 담당했습니다. 이후 2018년 1월부터 고객 개발 매니저직을 맡고 있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리테일 분야에서 활동한 후에 기업 경영 부서에서 일하거나 이와 반대로 전향하면서 많은 경험을 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모빌리티 기회를 통해 루이 비통 하우스의 다양한 세계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실 수 있습니다.
루이 비통에서 제가 가장 흥미로웠던 경험 중 하나는 올해 하이 주얼리와 하이 워치 공방을 보기 위해 파리와 제네바로 출장을 갔을 때입니다. 공방의 제작 환경을 직접 보고 하이 주얼리와 하이 워치 작품을 직접 만드는 장인들을 만났던 시간은 제가 평생 잊지 못할 정말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루이 비통 하우스와 공방 장인들은 이러한 작품 제작과 노하우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공방 장인들에게서 많은 영감과 열정을 얻고 이러한 경험을 저의 팀과 고객과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루이 비통에서 일하는 것이 즐거운 이유는 바로 저의 개성과 장점을 살려 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많은 기회가 있으며, 정해진 한 가지 성공 방법은 없습니다. 루이 비통 하우스에서 일하며 실질적으로 많은 자율성을 가지고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고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
Mayuko
런던에서 도쿄로
I’ve never felt like it’s been almost 15 years being in this Maison. There’s never a moment where you think “this is not possible or it’s impossible”.
***
My name is Mayuko. My current position is Vice President for Merchandising and VM (Visual Merchandising).
So this means managing two departments.
The first one involves really starting from the first part of the product cycle, where we see the products in the showroom in Paris, and we work on what is best for Japan in terms of product offer, what we want to do in terms of strategy. So, of course, we receive the general strategy and what we want to do as a brand, but then we try to filter, and we digest things, we try to see what that means for our zone. And then after the buys and assortments being made in Paris, we take that back into Japan where we work also with the Visual Merchandising team to see how that will roll out in store.
I started my career in 2003 in the New Bond Street store in London.
I was extremely lucky to work within the Watch & Jewelry team, the Visual Merchandising team, the after-sales team and the leather goods team. So it was an extremely fulfilling challenge, and really created the base of my career within Louis Vuitton.
The journey has been extremely smooth, and yet full of different things happening along the way. So first starting from New Bond Street in the store, this was for about six months, and then I was in the head office in London, and I was representing the UK, Scandinavia and Ireland for Regional Products Merchandising Manager. After one year, I was in the Paris office, in the Europe zone, where I had many different experiences: first within the ready-to-wear team, and then working in the accessories team, where we built merchandising and accessories, which was not existent then, and then moving on to leather goods. That’s when I was also weighing out the fact that I’m Japanese, and I’d actually never lived in Japan before, so due to personal reasons, I wanted to be closer to my family.
And what was quite amazing is that of course we are LVMH, we are Louis Vuitton, so there was this amazing chance to be able to move by mobility, which is how I moved into Louis Vuitton Japan, to become Merchandising Manager for leather goods.
And then there was an opportunity within LVMH still, but in FENDI, this time in Hong Kong, when I then moved back after a year to Tokyo, within a brand outside of LVMH.
However, 2½ years ago there was this wonderful opportunity to be the Vice President of Merchandising here, which I gladly took because it’s really maximizing the experiences that I’ve had so far within all product categories. So this is how I came back to Louis Vuitton in Tokyo.
What keeps me excited within Louis Vuitton is that you’re on a treadmill; it doesn’t stop. I’ve never felt like it’s been almost 15 years being in this Maison. I guess we go through so many changes, so many different things happening, so many new challenges coming on board, that we really do never stop.
There’s never a moment where you think “this is not possible or it’s impossible”, because there’s always a way to then look at something differently. There’s no set career plan in the sense that once you join the Maison you start with A and then it’s B, C, D. It depends on what happens afterwards to then determine what could be the path.
Obviously, when you spend more than ten years in a company or when you work extremely closely - because sometimes in the showrooms in Paris, for example during the buying sessions, we are together from 8 o’clock in the morning until midnight - it’s extremely tough mentally and physically. So that’s when you have that one moment when you’re parting, when you have your farewell goodbyes, that you really have made not only solid professional relationships, but really good friendships: a lot of trust, a lot of connections with people beyond just Louis Vuitton and merchandising.
Mayuko, Vice President Merchandising, Louis Vuitton Japan
하우스에서 거의 15년 동안 근무하고 있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습니다. “불가능하다”라는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
저는 루이 비통 일본의 제품 머천다이징 및 비주얼 머천다이징 부사장직을 맡고 있는 마유코(Mayuko)입니다. 저는 두 개 팀을 모두 맡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머천다이징 업무는 제품 출시의 첫 번째 사이클부터 시작됩니다. 파리 쇼룸에서 새로운 컬렉션을 확인하고, 일본에서 가장 잘 판매될 수 있는 제품과 전략을 연구합니다. 당연히 파리 본사에서 저희에게 컬렉션에 대한 개요와 브랜드가 제안하는 목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후에는 지역별로 컬렉션을 어떻게 판매할 수 있는지 고려해서 컬렉션을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파리에서 바잉과 컬렉션 조합을 마친 후에 일본으로 돌아와 비주얼 머천다이징팀과 협력하여 매장 내 제품 배치를 연구합니다.
저는 2003년에 런던 뉴 본드 스트리트(New Bond Street)에 위치한 매장에서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당시에 워치, 주얼리, 비주얼 머천다이징, AS, 가죽 제품 등 여러 팀과 일할 수 있는 매우 값진 기회를 얻었습니다. 그때의 소중한 경험이 루이 비통 하우스에서 저의 커리어를 쌓아가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저는 굉장히 유동적이고 풍성한 커리어를 만들고 다양한 분야에서 가치 있는 경험을 해왔습니다. 런던 뉴 본드 스트리트 매장에서 약 6개월간 근무한 후에 런던에 있는 루이 비통 영국 본사에 합류하여 영국, 스칸디나비아 지역과 아일랜드의 지역별 제품 머천다이징을 담당했습니다. 1년 후에는 파리 본사와 유럽 지역에서 활동하여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기성복팀과 일하고 이후 액세서리팀과 일하며 머천다이징 전략과 새로운 액세서리를 개발하였습니다. 이어서 가죽 제품 머천다이징 업무도 맡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저는 제가 일본인이지만 일본에서 실제로 살아본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이유로 일본에 있는 가족들과 좀 더 가깝게 지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특히 놀랍다고 생각하는 것은 LVMH 그룹과 루이 비통 하우스가 직원들에게 다양한 직무 이동 기회를 준다는 점입니다. 저 역시 이런 기회를 통해 루이 비통 일본에 가죽 제품 머천다이징 책임자로 합류할 수 있었습니다.
이어서 그룹 내에서 계속 커리어를 개발할 기회를 얻었으며, 이번에는 홍콩의 펜디 하우스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1년 후 도쿄로 돌아와LVMH 그룹의 외부 브랜드에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2년 반 전에는 루이 비통 일본의 머천다이징 부사장으로 임명되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습니다. 저는 그동안 제가 전 카테고리의 제품을 거치며 경험했던 모든 것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이 자리를 아주 기쁘게 수락했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어떻게 도쿄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는지 그 여정을 모두 말씀드렸습니다.
루이 비통에서 제가 가장 흥미롭고 열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절대로 정체되어 있지 않고 항상 변화가 있다는 점입니다. 제가 루이 비통 하우스에서 거의 15년 동안 근무하고 있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습니다. 루이 비통은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만들고 있으며, 항상 도전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습니다. 루이 비통의 꿈은 절대 멈추지 않습니다.
루이 비통은 언제나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는 “불가능하다”라는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루이 비통 하우스에 합류한 이후에는 하나로 정해진 커리어 개발 계획은 없습니다. A라는 직무에서 시작한 이후에는 각자가 B, C, D 단계로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은 커리어 시작 이후의 경험과 선택에 달려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여러분의 커리어의 방향이 결정됩니다.
당연히 한 기업에서 10년 이상 근무하다 보면 많은 직원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리 쇼룸에서 열리는 바잉 세션은 8시간이나 진행되기 때문에 굉장히 피로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세션을 마치고 인사를 나눌 때는 모두가 업무상의 파트너십 이외에도 진정한 우정을 느끼고 있습니다. 저는 루이 비통 외부의 파트너는 물론 하우스의 다양한 머천다이징팀과 서로 수시로 연락하며 신뢰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Mayuko, 루이 비통 일본 머천다이징 부사장
-
Aaron
스토어 매니지먼트에서 리테일 교육 담당으로 전향
If you have a track record of proven performance, if you’re hungry to learn and to improve, then you should raise your hand. I took that seriously and I thought “I think he’s talking to me”.
***
My name is Aaron.
I started my career at Louis Vuitton in November of 2010, so a week before Thanksgiving, as the store manager for the shops at the Bravern in Seattle, Washington.
It was a smaller intimate team, I was one of seven and really, really enjoyed delving into Louis Vuitton. It’s something the magic that you feel when you first start working there but I got to experience a lot in those first three years.
I remember we had a sales meeting in San Francisco in 2013, and we had a general session, and one of the store managers stood up and ask about mobility. Mr. Burke said, “I hear what you’re saying sometimes you will have to move away from your friends and your family to grow yourself and stretch yourself. (…) If you have a track record of proven performance, if you’re hungry to learn and to improve, then you should raise your hand.” I took that seriously and I thought “I think he’s talking to me”. I went home, and I raise my hand and through conversations and some interviewing I took a position in San Francisco as the team manager for leather goods and accessories.
I was in San Francisco for about two years, and then I had an opportunity to come to the corporate side. I always felt that as a store manager we train and we coach on the daily basis, but I thought it would be interesting to focus that energy full time as a retail learning manager, so I audition for the position and I got the job and I moved again to Los Angeles. I keep making jokes at this rate I’m going to – if I keep moving south I’m going to be in Mexico, I’m going to keep moving further down. I’m very happy in LA and so I’ve been the retail learning manager in base out of LA for the west coast since 2015.
The stores are such a vibrant fast fanatic places and to understand the business right there in the frontlines with our clients, with our store teams gave me tremendous insight when it comes to being a retail learning manager. Is the training relevant? Will this work? How will this scale?
Things happen, and sometimes I have to correct or pivot it different way to make sure that the learning is really happening.
There’s a lot of magic when it comes to training, there’s that sugar high that you get, and it will wear off.
I love unlocking potential through facilitation, I love it when the light bulbs go on and people see how they can go further with something.
Aaron, Senior Retail Learning Manager
역량이 있고 더 많이 배우고 발전할 의지가 있으시다면 망설이지 마셔야 합니다”라는 최고경영자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나에게 하는 이야기가 아닐까?”라고 생각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론(Aaron)이라고 합니다.
저는 2010년 11월 추수감사절 1주일 전에 워싱턴 시애틀에 위치한 브라번(Bravern) 매장의 스토어 매니저로 루이 비통에서 첫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전체 직원이 7명인 소규모 팀에서 정말로 즐겁게 일하며 루이 비통 하우스의 다양한 세계를 배웠습니다. 루이 비통에서 일을 시작하면서 마법처럼 놀라운 기분을 느꼈고, 특히 첫 3년 동안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201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된 세일즈 미팅 전체 회의에서 스토어 매니저 중 한 명이 모빌리티에 대해 질문했던 내용이 기억납니다. 마이클 버크 최고경영자는 “여러분이 때때로 친구와 가족을 떠나 여러분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검증된 역량이 있고 더 많이 배우고 발전할 의지가 있으시다면 망설이지 마셔야 합니다”라고 답변했습니다. 저는 이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나에게 하는 이야기가 아닐까?”라고 생각했습니다. 집으로 돌아와서 모빌리티 기회를 잡기 위해 노력하였고, 샌프란시스코 매장의 가죽 제품과 액세서리 팀 매니저직에 지원하여 여러 미팅과 인터뷰에 참여했습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에서 약 2년 동안 일하며 기업 내부 부서에서 활동할 기회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는 항상 스토어 매니저로서 매일 직원들을 교육하고 코치하면서 리테일 러닝 매니저로서 교육 업무를 전담해도 흥미로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 자리에 지원하고 배치되면서 다시 로스앤젤레스로 돌아왔습니다. 농담처럼 저는 이런 속도로 계속 남부로 이동한다면 아마 멕시코로 내려가거나 더 먼 지역으로도 갈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했습니다. 저는 LA에서 굉장히 만족스럽게 일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LA를 기점으로 웨스트 코스트 지역의 리테일 러닝 매니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역동적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매장에서 고객들을 직접 만나고 현장에서 비즈니스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리테일 러닝 매니저가 되기까지 저의 스토어팀을 통해 가장 중요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관련된 적절한 교육일까? 이 방법이 효과가 있을까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저는 이렇게 많은 질문을 던지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교육을 진행하면서 때에 따라 수정을 하고 교육 방법을 변경하여 효과적인 교육이 제공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직원들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놀라운 경험을 많이했으며, 여러분은 많은 에너지를 얻고 이에너지가 주위에 전파되고 있습니다.
저는 동기 부여를 통해 직원들의 잠재적인 능력을 찾아내는 것을 좋아하고, 작은 불빛이 켜져서 직원들이 얼마나 더 멀리 목표를 향해 갈 수 있는지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모든 채용 직무를 확인하세요
확인 하기
Louis Vuitton
#LVMenSS21
Freeing the mind. @VirgilAbloh imagined a spectacular multimedia display for his latest #LouisVuitton collection. Watch the full show at http://on.louisvuitton.com/6010GqU8p
Produced by Benji B, featuring Yussef Dayes, Shabaka Hutchings, Nubya Garcia, Kamaal Williams and Omar.